세금도 절약하고 가족도 돕는 부양가족 기본공제, 잊지 말고 신청해야겠어요. 제가 꼼꼼하게 정리해둔 내용을 바탕으로 올해 연말정산에서 누구를 부양가족으로 잡을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한번 확인해 보세요!
1. 누구를 부양할 수 있을까?
직계 존속 및 비속: 배우자, 자녀, 손자녀부터 형제자매, 조부모, 외조부모까지 멀~리 친척도 포함될 수 있어요. 다만, 세대주와 5촌 이내까지만 가능하다는 거 주의해야 하죠.
비속: 굳이 친척이 아니더라도, 실제로 같이 살면서 생계를 도와주고 있다면 부양가족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친구나 연인도 포함될 수 있다는 거, 꽤 놀랍지 않나요?
⠀2. 소득은 얼마까지 받아야 할까?
부양가족이 연간 100만원 이하의 소득만 한다면 부양가족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연간 총급여액이 500만원 이하여도 괜찮습니다. 생각보다 넉넉한 기준이죠?
장애인의 경우에는 소득 제한이 없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3.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연말정산 시에 소득공제 신청하면 됩니다. 국세청 홈택스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게 편리하죠.
부양가족 관계 증빙 서류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를 준비해서 제출해야 하니 미리 준비해 두세요.
⠀4. 주의할 점은?
부양가족의 소득이나 생계 사실을 허위로 신청하면 과세 처분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하세요! 절대로 해서는 안 될 거예요.
만약 장애인, 만성질환자 등의 특별 근로소득공제를 받는 가족이 있다면, 근로소득공제액을 먼저 빼고 소득금액을 계산해야 한다는 점도 주의해야 해요.
⠀5. 오늘 알아본 내용 정리
부양가족 기본공제: 부양가족의 소득을 일정 금액까지 공제해주는 제도
대상: 직계존속 및 비속, 소득 100만원 이하 (근로소득: 총급여액 500만원 이하)
신청: 연말정산 소득공제 신청, 부양가족 관계 증빙 서류 제출
주의: 허위 신청 시 과세 처분, 특별 근로소득공제액 고려
⠀6. 금전적 효과 계산
부양가족 1인당 기본공제액: 연 150만원
제가 연 2,000만원의 소득세를 낸다면...
부양가족 1명 추가 시: 150만원 소득세 감면
부양가족 2명 추가 시: 300만원 소득세 감면
⠀7. 부양가족 기본공제, 이렇게 활용하면 좋아요!
실제로 생계를 도와주는 가족들을 부양가족으로 신청하여 세금을 절약하고
부양가족들에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라고 생각하면 훨씬 더 의미있는 일이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