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전면허 적성검사 진행 방법 3단계 및 주의사항

by studio-times 2023. 7. 14.
반응형

썸네일
썸네일

 

본 포스팅은 운전면허 적성검사 진행 방법 3단계 및 주의사항에 대해서 소개한다. 운전을 해도 되는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다. 처음 면허를 따는 신규일 때도 진행을 하고, 그 이후 주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검사라고 해서 무슨 필기시험을 치는 게 아니고 신체검사만 하는 것이다.

본 내용은 2023년 7월 1일 자로 작성되었습니다.

 

1. 대상자 확인

신규일 때는 면허 종류가 무엇이든지 간에 모든 사람들이 적성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후부터는 1종 운전면허 소지자, 2종 운전면허 소지자 중에서 갱신기간에 70세 이상인 사람만 주기적으로 받으면 된다. 그래서 1종 면허증을 보게 되면 적성검사라고 표기가 되어있고, 2종 면허증을 보면 갱신 기간으로 표시가 되어있다. 만약에 1종인 분이 검사에서 불합격을 하게 되면 2종으로 내려간다.

 

 

2. 검사 기간

아래 예외 사항을 제외하고는 운전면허 시험 합격일로부터 10년 주기로 받아야 한다. 해당 기간을 놓치게 되면 면허가 취소되기 때문에 무조건 방문을 해야 한다. 나도 예전에 기간을 놓쳐서 교통민원실에다가 한 번만 봐달라고 했는데 절대로 그런 거 없다. 법은 무조건 지켜야 한다. 해당 기간에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연기신청을 해야 한다. 안 하면 말짱 도루묵.

  • 65세 이상 75세 미만은 5년
  • 75세 이상은 3년
  • 한쪽 눈 실명인 사람 중 1종 보통은 3년

 

 

3. 진행 절차

1.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에 접속해서 신청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사진파일을 준비하고, 최근 2년 내 건강검진 내역 이용 동의를 한 다음에 신청이 가능하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적성검사뿐만 아니라 운전면허 관련해서 모든 민원 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니 즐겨찾기 해두자.

 

 

2. 운전면허 시험장 또는 경찰서 교통민원실로 방문

신분증 들고 가는 건 기본이다. 도착해서 적성검사 신청서를 작성하고 대기표 뽑고 기다리고 있으면 된다. 개인적으로 경찰서보다는 시험장 환경이 더 나은 편이다. 그리고 적성검사가 끝난 이후에 면허증 갱신하는 과정도 시험장 쪽이 더 빠르다. 위치가 조금 애매한 곳이 많긴 하지만 자가용이 있다면 적극 추천한다. 전국 시험장 위치를 확인하자.

 

 

3. 신체검사 진행 후 갱신

신체검사가 곧 적성검사라고 했다. 면허 종류에 따라서 검사 종류도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 1종 : 시력, 삼색식별, 청력, 사지운동능력 4가지
  • 2종 : 시력

 

 

1종에서 시력의 경우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8 이상이어야 하고, 양쪽 눈의 시력이 각각 0.5 이상이어야 한다. 안경을 쓰든 벗든 상관없이 말이다. 2종에서 시력검사 통과 기준은 두 눈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5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한쪽 눈 실명인 분은 0.6 이상이어야 한다. 2종은 앞서 얘기한 대로 신규 때만 하는 것이고, 이후 적성검사 때는 안 하니까 통과 기준을 굳이 알아둘 필요는 없다. 통과하면 갱신된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고 기분 좋게 집에 가면 된다.

 

 

지금까지 운전면허 적성검사 진행 방법 3단계 및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차량 관리 관련해서 도움 되는 정보를 아래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기름값 비교사이트 이용하는 방법
중고차 사고이력 조회 방법 3단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