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중위소득 100% 기준 및 기타 비율 정보

by studio-times 2023. 4. 18.
반응형

썸네일
썸네일

 

2023년 복지 정책 기준으로 사용되는 중위소득 100%를 알아보고 다른 비율은 어떻게 계산되어서 표기되는지도 함께 공유한다. 가구인원수에 따라서 달라지는 점을 참고하기 바라고, 해당 기준이 적용되는 지원금 종류도 함께 언급하겠다.

본 내용은 2023년 4월 1일 자로 작성되었습니다.

 

100%

매년 8월에 보건복지부에서 다음 해에 적용되는 100% 기준을 발표한다. 세전 월소득 개념이 공개되는데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서 도출되는 것이다. 코로나 격리자 생활지원비, 청년내일저축계좌, 중장년 취성패, 재난적 의료비 등이 연관되어 있다. 

가구원 수
100%
1인
2,077,892
2인
3,456,155
3인
4,434,816
4인
5,400,964
5인
6,330,688
6인
7,227,981

 

80%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사업의 선정 기준이 된다.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지원 사업이라서 주민센터에 방문하면 된다.

가구원 수
80%
1인
1,662,314
2인
2,764,924
3인
3,547,853
4인
4,320,771
5인
5,064,550
6인
5,782,385

 

75%

긴급복지 지원제도 선정 기준이 된다. 긴급하게 생계가 곤란한 사람들을 구제하는 정책인데, 중위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것 외에도 도시별로 재산 기준 금액도 충족해야 한다. 금융재산은 도시상관없이 모두가 6백만 원 이하여야 한다. 현금으로 단순하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생계, 주거, 의료 등 각 분야별로 필요한 금액에 대해서 한도 안으로 제공한다.

가구원 수
75%
1인
1,558,419
2인
2,592,116
3인
3,326,112
4인
4,050,723
5인
4,748,016
6인
5,420,986

 

70%

가사, 간병 방문지원사업의 선정 기준이 된다. 만 65세 미만이면서 중위소득 70% 이하 조건은 필수로 충족을 해야 한다. 그리고 중증장애인,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중증질환자, 희귀 난치성질환자,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한부모가정 등의 조건에 속해야 한다.

가구원 수
70%
1인
1,454,524
2인
2,419,309
3인
3,104,371
4인
3,780,675
5인
4,431,482
6인
5,059,587

 

65%

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 및 자립지원 사업의 선정 기준이 된다. 다양한 형태로 지원금이 제공되는데, 이 중에서 아동양육비 등의 복지 급여를 받을 때 중위소득 65% 이하 기준이 필요하고, 한부모가족증명서를 발급받을 때는 72% 이하 기준이 적용된다.

가구원 수
65%
1인
1,350,630
2인
2,246,501
3인
2,882,630
4인
3,510,627
5인
4,114,947
6인
4,698,188

 

60%

한부모 조손가족 급여와 취업성공패키지, 청년 월세지원의 선정 기준이 된다. 

가구원 수
60%
1인
1,246,735
2인
2,073,693
3인
2,660,890
4인
3,240,578
5인
3,798,413
6인
4,336,789

 

50%

기초생활수급자 교육급여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초, 중,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에 한해서 입학금, 수업료, 학용품비, 그 밖의 필요한 물품 등을 지원하게 된다. 이 중에서 실질적으로 계좌에 꽂히는 것은 교육활동 지원비다. 1명당 연 1회에 한해서 현금이 지원되는데 이건 본인이 필요한 어디든 사용해도 된다.

가구원 수
50%
1인
1,038,946
2인
1,728,078
3인
2,217,408
4인
2,700,482
5인
3,165,344
6인
3,613,991

 

47%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월세를 얘기하는 임차료와 수선비용 2가지를 제공하게 된다. 모두 혜택을 받을 수도 있고, 하나만 받을 수 있는데 어찌 되었든 중위소득 47% 이외에도 나라에서 정한 다른 조건도 모두 충족을 해야 한다.

가구원 수
47%
1인
976,609
2인
1,624,393
3인
2,084,364
4인
2,538,453
5인
2,975,423
6인
3,397,151

 

40%

기초생활수급자 의료급여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이 안에서도 1종과 2종으로 구분이 되어서 지원 규모가 달라지게 된다. 둘을 간단하게 비교하는 기준은 근로능력 여부이다. 여기에 따라서 본인이 내야 할 부담금 차이가 조금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수급자가 수술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조건도 참고하기 바란다.

가구원 수
40%
1인
831,157
2인
1,382,462
3인
1,773,926
4인
2,160,386
5인
2,532,275
6인
2,891,192

 

30%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해당 기준 자체가 생계급여의 최대 지급액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본인이 1인가구로 살고 있고 소득인정액이 세전 월 10만 원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623,368원에서 10만 원을 제외한 금액을 받게 된다.

가구원 수
30%
1인
623,368
2인
1,036,847
3인
1,330,445
4인
1,620,289
5인
1,899,206
6인
2,168,394

 

 

지금까지 2023년에 적용되는 중위소득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저소득층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복지 정책을 아래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저소득 근로자 생활안정자금지원 신청방법 3단계
2023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확인 방법 3가지
기초생활수급자 병원비 혜택 3가지
병원비 본인부담금 줄이는 방법 3가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