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5세이상 임플란트 정부지원 받는방법

by studio-times 2023. 5. 23.
반응형

썸네일
썸네일

 

본 포스팅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임플란트 정부지원받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나의 부모님은 은퇴를 하시고 나서 부쩍 건강이 안 좋아지시는 편인데 사실 소득이 넉넉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강보험료가 아까워서 신세한탄하시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가 임플란트 혜택 받고 나서는 얘기가 쏙 들어갔다.

본 내용은 2023년 5월 1일 자로 작성되었습니다.

 

1. 자격 조건 확인하기

만 65세 이상인 분들이 평생 1인당 2개까지 건강보험을 적용받아서 저렴하게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는데 세부적으로 어떤 재료를 쓰느냐 따라서 대상자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부가적인 시술이 들어가게 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모든 사항들은 치과 의사 선생님께서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결정해야 한다. 그러니까 본 내용을 읽고 있는 상황에서는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할 필요는 없다. 용어를 알려고 하면 의사 수준으로 공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낭비다. 치아가 아예 없는 완전 무치악은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정도만 알면 되겠다.

 

 

 

2. 병원 담당자가 등록 신청하기

본 단계에서는 환자가 할 것이 없다. 모든 것은 치과 병원이나 의원 담당자가 업무 처리를 하게 된다. 의사로부터 혜택 받을 수 있다고 확인을 받으면 그때부터는 담당자가 시키는 대로 서류 작성하는 등 과정을 거치면 된다. 병원에서는 등록신청서를 작성해서 공단 지사에 제출하게 된다.

 

 

3. 지급은 공단에서 병원으로 직접 진행

마지막까지도 환자가 할 게 없다. 건강보험 적용받은 금액을 안내받게 되는데 이걸 병원에 납부하기만 하면 된다. 100% 할인받는 것은 아니고 총 급여비용의 30%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차상위계층이면서 희귀 난치성질환자는 10%, 만성질환자는 20%만 내면 된다. 의료급여 대상자는 1종의 경우 10%, 2종의 경우 20%를 내면 된다. 임플란트는 특성상 사후관리가 중요한데 제대로 식립 되지 않고 빠지는 경우가 왕왕 존재한다. 이걸 고려해서 사후 점검기간 3개월을 두게 되는데 이 기간에는 진찰료만 부담하면 된다.

 

 

부모님 후기

두 분 다 혜택을 받았는데 치아 1개당 150만 원 정도 진료비가 나왔고 이 중에서 30%인 45만 원만 자부담으로 내셨다. 1개당 약 100만 원이나 할인을 받은 셈. 치과마다 가격이 다르긴 한데 건강보험공단과 병원이 진료 수가라고 해서 적정 금액을 유지하도록 협의를 했기 때문에 천차만별로 차이가 있지는 않다. 대략 1개당 150만 원 내외라고 보면 된다.

 

 

지금까지 65세 이상 임플란트 정부지원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은퇴 후 병원비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아래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병원비 본인부담금 줄이는 방법 3가지
카카오페이 병원비 청구 무료 열람 3단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