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딤씨앗통장 대상 자격 조건 3가지

by studio-times 2022. 12. 7.
반응형

썸네일
썸네일

 

본 포스팅은 디딤씨앗 통장 대상 자격 조건 3가지에 대해서 소개한다. 보호를 받아야 하는 아동이 매월 일정 금액 적립을 하게 되면 월 10만 원 한도 내에서 1:2 비율로 정부에서 지원을 하게 된다. 아동이 5만 원을 넣으면 나라에서 10만 원을 준다는 얘기이다. 가입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익률이 더 커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건을 확인하고 반드시 적립하도록 한다.

 

개요

보호대상 아동이나 기초생활수급자 가구 아동 모두를 아우르는 제도이다. 아동을 지켜주는 보호자나 후원자가 본 통장에 일정 금액을 넣어도 상관없다. 나라에서는 아동이 만 18세까지 때만 지원을 해주는데 본인이 필요하면 만 24세까지 저축을 해도 된다. 다만 이때쯤 되면 또 다른 투자처를 찾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건 본인 선택의 문제이다.

 

만 18세가 최종 만기일이고, 이건 가입한 아동의 생년월일로 따지는 것이 아니라 통장 가입일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정부 지원 상관없이 추가로 돈을 적립할 수 있는데 그 금액은 월 최대 50만 원까지다. 만 18세에 만기가 끝나고 만 24세까지는 학자금, 기술자격, 취업훈련비용, 창업지원금 등 나라에서 정한 자립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해야 하고, 만 24세 이후부터는 본인이 쓰고 싶은 곳에 마음껏 사용해도 된다.

 

조건 3가지

아래 조건들 중에서 하나만 충족해도 된다.

 

1.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 가정위탁 보호아동, 장애인 생활시설 아동, 소년소녀가정 아동

아동복지시설은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을 뜻한다. 일시적으로 단기간에 보호하는 시설도 있는데 여기에서는 3개월 이상 장기 보호를 받게 되는 경우에도 대상이 될 수 있다. 아동수당을 받는 분들이 있는데 이 분들은 반드시 사회복지시설에서 보호받는 대상이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서 디딤씨앗 통장으로 아동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다.

 

2. 만 12세 이상 만 18세 미만의 중위소득 40% 이하의 기초생활수급 가구 아동 중 신규 선정

수급자 분들 중에서 생계, 의료 자금을 받고 있는 분들에 한해서 지원이 가능하다. 그런데 여기에 해당되는 분들은 보통 정부나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산형성 통장과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 우선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희망키움 통장"은 디딤씨앗 통장과 중복해서 지원이 가능하다. 다만 지자체에서 보호 아동에게 제공하는 유사한 정책은 거의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지역마다 정책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시청이나 구청에 문의해볼 필요가 있다.

희망키움 통장 자격조건 3가지

 

3. 기 가입 아동 중 가정복귀 및 탈수급 아동

보호 아동이 가출을 한 경우라도 지원은 계속된다. 가정복귀로 변경처리를 하고 통장에 지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통장에 처음 가입했을 때는 기초생활수급자였는데 그 기간 동안 수급자에서 벗어나서 탈수급이 된 경우가 있다. 이럴 때도 계속 지원금을 제공한다.

 

아동 후원으로 혜택 받는 방법

베푸는 마음으로 아무런 보답 없이 후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 들어 드림 버튼이라는 플랫폼에서 블록체인 펀드를 이용해서 후원금으로 수익을 낸 후 보호아동이나 자립 청년들에게 더 많은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다. 월드비전이나 우리 자산운용과 함께 제휴를 맺고 추진하고 있는 사업인데, 여기 후원자가 되면 후원금 사용 관련해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고, 기부금 영수증을 통해서 월세 공제까지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되다 보니 후원금 출처나 사용처에 대한 정보를 모두가 투명하게 공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날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다.

 

 

지금까지 디딤씨앗 통장 대상 자격 조건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후원을 하는 분들이나 지원이 필요한 아동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미환급금 찾아주기 통합서비스 이용방법
저소득층 생활안정자금지원 신청방법 3단계
차상위계층 기준 3가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