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2023년 2학기부터 적용되는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별 지급금액에 대해서 소개한다. 총 3가지 유형이 있는데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정리했다. 자녀가 온전히 대학을 졸업할 수 있도록 능력이 되는 데까지 최대한 지원해 주자.
본 내용은 2023년 8월 1일 자로 작성되었습니다.
상담 사례
대학생 아들 2명을 둔 부부가 재무상 담을 받으러 찾아온 적이 있다. 대학 등록금부터 시작해서 아이들 생활비까지 마련해줘야 하는 가장 빠듯한 시기에 오셨더라. 국가장학금을 받을 순 있긴 하지만 100% 다 해결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매 학기마다 고민이 된다고 한다. 나는 보통 이런 분들을 만나면 굉장히 직설적으로 얘기하는 편이다. 금전적으로 여유가 없는데 자녀를 둘 다 대학 보낼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욕심이라고 말이다. 이게 굉장히 뼈아픈 얘기이긴 하다. 대학 나와야 취업이 유리하다는 걸 모르는 것도 아닌데, 그렇다고 해서 하늘에서 돈이 뚝하고 떨어지는 것도 아니지 않나?
나는 국장 외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3가지를 추천한다.
- 학자금 대출
- 자녀들 알바시키기
- 독립 자금 미리 주기
일정
- 신청 일정 : 2023. 8. 17.(목) 9시 ~ 2023. 9. 14.(목) 18시
- 서류 제출 : 2023. 8. 17.(목) 9시 ~ 2023. 9. 21.(목) 18시
- 가구원 동의 : 2023. 8. 17.(목) 9시 ~ 2023. 9. 21.(목) 18시
2023년 마지막 장학금 신청 기간인 2학기 2차가 9월 14일까지 진행된다. 재학생을 제외한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복학생을 대상으로 신청 접수를 받고 있다. 국장 지급액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게 가구의 소득 수준인데, 재단에서 이걸 8주 정도 걸쳐서 확인을 한다. 그러고 나서 심사와 선발 과정을 거치면 9월 중순부터 대학으로 곧장 등록금을 송부하게 된다. 신청 이후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자금 계획을 제대로 세우려면 신청 일정 마지막까지 질질 끌면 안 된다.
지급금액
국가장학금은 유형이 3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신청할 때 원스톱으로 다 같이 신청하게 된다. 오늘 제일 궁금한 게 지원금액인데, 소득분위 별로 차등지급하는 것이 원칙인 데다가 정부 예산에 따라서 자주 변경되는 것이 있어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1 유형
대표 격인 장학금 유형이다. 나라 세금으로 주는 것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유형이고, 소득 분위 8 분위 이하이기만 하면 무조건 받게 된다.
학자금 지원구간
|
학기별 최대지원금액
|
기초/차상위
|
350만원
|
기초/차상위
(신청자 본인(미혼) 서열 둘째)
|
전액
|
1구간
|
260만원
|
2구간
|
260만원
|
3구간
|
260만원
|
4구간
|
195만원
|
5구간
|
195만원
|
6구간
|
195만원
|
7구간
|
175만원
|
8구간
|
175만원
|
2 유형
대학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장학금이다. 하는 곳도 있고 안 하는 곳도 있다. 심사 기준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들은 2 유형에 합격할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저소득층이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어차피 될지 안 될지 모르는 상태에서 일단 한꺼번에 다 신청이 들어가는 부분이기 때문에 결과를 기다리면 될 것이다. 지급금액이 정해진 것은 없다.
다자녀 유형
아래표는 둘째까지 적용되는 지급액이고, 셋째부터는 전액 지원된다. 그런데 이번에 다자녀 기준을 3명에서 2명으로 줄이는 정책이 적용되고 있는데, 국가장학금에는 아직 적용되지 않아서 내년을 기다려야겠다. 한 가지 추가되는 내용으로, 셋째 이상 자녀를 둔 가구는 아래표처럼 정해진 금액대로 지급되는 게 아니라 가구 내에서 자유롭게 금액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편한다고 한다. 셋째한테 전액을 주는 것을 첫째한테 넘겨줄 수도 있다는 얘기다. 내년 3분기까지 법안을 개정한다고 했으니까 1년 뒤에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학자금 지원 구간
|
학기별 최대 지급액
|
기초/차상위
|
350만원
|
기초/차상위
(신청자 본인(미혼) 서열 둘째)
|
전액
|
1구간
|
260만원
|
2구간
|
260만원
|
3구간
|
260만원
|
4구간
|
225만원
|
5구간
|
225만원
|
6구간
|
225만원
|
7구간
|
225만원
|
8구간
|
225만원
|
지금까지 2023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별 지급금액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4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
정년연장 65세 시행 시기 추진 현황 및 연금 수령 관계
정년퇴직 나이 기준 및 생계 준비 가이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