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정년퇴직 나이 계산하는 방법 및 생계 준비 가이드를 소개한다. 기본적으로 만 60세로 알고는 있지만 직업별로 법률상 정해놓은 퇴직 시기가 다르다. 그리고 나이를 놓고 회사와 논쟁거리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해결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마지막은 은퇴 후 삶에 대해서 얘기를 하겠다.
본 내용은 2023년 7월 1일 자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년퇴직 나이
법적으로 만 60세 이상으로 정해야 한다고 되어있다. 다만 직업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고등학교를 제외한 교육공무원, 즉 교사는 만 62세까지이고, 검찰총장 외의 검사는 만 63세, 판사, 검찰총장, 고등학교 교육공무원, 특별감찰관, 감사위원, 국립외교원의 전임교수요원, 도선사, 의용소방대원, 육체노동자의 정년은 만 65세까지다. 대법원장, 대법관,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관, 감사원장, 신부, 목사는 만 70세까지이고, 임명공증인은 만 75세까지다.
회사에서 만 60세 미만으로 정했어도 그건 불법이기 때문에 만 60세까지 다닐 수 있다. 회사 자체적인 취업 규칙에 만 60세 미만으로 적혀있어도, 근로계약서에 만 60세 미만으로 정해놨어도 상관없다. 해당 규칙과 계약 자체가 법에 어긋나는 것이기 때문에 노동부에 신고하면 정년까지 다닐 수 있고, 사업주는 처벌받는다.
교육공무원 교사의 경우 예외적으로 아이들을 가르쳐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정년에 도달한 날이 3~8월 사이라면 8월 31일에, 9~ 다음 연도 2월 사이라면 다음 해 2월 말에 퇴직할 수 있다. 그래서 8월에 퇴직한 담임선생님이 있다면 2학기에는 담임이 바뀔 수 있다.
계산 방법
만 나이로 따지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의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2023년 7월 13일에 만 60세라고 하면 7월 12일이 회사를 다니는 마지막 근무일이 된다. 즉, 정년에 도달한 첫날이 퇴직일이다. 2023년 6월부터 만 나이가 시행되는데 이것 때문에 정년퇴직 시기가 늦춰지는 것 아니냐고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은데, 애초에 만 나이로 정년 문제를 논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무 상관이 없다. 윤석열 정부가 시행한 만 나이 제도는 적용되지 않는 분야에서 통일시키기 위한 것이다.
계산이 어려우면 만 나이 계산기를 이용하기 바란다.
퇴직 후 인생 설계 가이드
정년은 이렇다고 하더라도 시레로 끝까지 다닐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사기업이라면 더더욱. 기존에 다니던 회사에서 조차 버림받았기 때문에 더 절망적일 수 있다. 사람은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한 편인데, 그럼에도 은퇴하고서 연결되는 관계가 있다면 본인의 자존심을 내세우면 안 된다. 예를 들어서 과거에 내가 어떤 일을 했다든지 등등. 더더욱 돈이 필요하다고 하면 과거를 잊고 다시 시작한다는 마인드가 중요하다. 이걸 명심하고 다음 내용을 보기 바란다.
국민연금 공백기 대처 방법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만 65세까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본인이 제대로 준비하지 못했다면 재취업하는 수밖에 없다. 나중에는 최대 5년까지도 회사를 더 다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 기간이 절대로 짧은 게 아니다. 일하기 싫어도 해야 된다. 안 하면 건강보험료부터 시작해서 각종 세금문제에서 큰 타격을 볼 수 있다. 몸을 움직여야 사는 맛이 난다.
퇴직 후 할 수 있는 일 3가지(재취업)
퇴직 후 유용한 자격증 3가지
은퇴 후 창업 절차 및 아이템 선정 방법
연금 설계 방법
4층 연금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국민, 개인, 퇴직, 주택 이렇게 말이다. 전부 다 갖추면 참 좋긴 한데, 이 중에서 국민연금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가지 중 하나는 반드시 준비하기 바란다. 은퇴하기 5~10년 전에는 예적금 이런데 돈 넣어두지 말고 개인연금저축에 납입해서 펀드투자도 하면서 연금 수령액을 늘려가자. 은퇴시기에는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지 말고 연금으로 설정하기 바란다. 은퇴 이후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봉착하게 되면 주택을 연금으로 돌려서 생활비에 보태자. 자세한 내용은 은퇴 후 생활비 재무설계 방법 4가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지금까지 정년퇴직 나이 계산하는 방법 및 생계 준비 가이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생활비를 아끼는데 도움 되는 정보를 아래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병원비 본인부담금 줄이는 방법 3가지
내가 낸 세금 및 공과금 환급 조회 방법
휴면계좌 돈 찾기 3단계 따라 하기
더 센 카드 이용해서 카드 혜택 높이는 방법
댓글